유익한 정보

공공임대주택 신청

chan-tagheuer 2025. 4. 16. 15:38

 

2025 공공주택 소득 기준, 50·70·100만 기억하세요!

공공임대주택, 막연하게 어렵다고 느끼시나요? 수많은 숫자들 속에서 뭐부터 알아야 할지 고민된다면, 오늘 포스팅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핵심은 단 하나! 50%, 70%, 100% 세 가지만 기억하면 웬만한 기준은 다 맞출 수 있습니다.

공공임대주택 신청

공공임대 소득 기준의 핵심, “50·70·100”

50% 이하: 매입임대 (청년, 신혼부부 등)

70% 이하: 국민임대

100% 이하: 행복주택

기준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행복주택 1인 가구 청년 기준 소득은 431만 7,727원. 연봉으로 계산하면 약 5,181만 원입니다.

소득 기준은 매년 오른다

2024년 기준과 비교해도 확실히 증가했습니다.

2인 가구 맞벌이: 712만 원

3인 가구 맞벌이: 915만 원

4인 가구: 1,090만 원

즉, 매년 증가하고 줄어들지 않는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소득 때문에 신청 못 한다고요?

의외로 소득을 보지 않는 자격 완화 공고도 많습니다. 서울은 드물지만, 경기, 지방에서는 꽤 자주 나옵니다. 그러니까 미리 실망하지 마세요.

예시:

월급 250만 원 → 전부 다 접수 가능

월급 300만 원 → 국민임대, 행복주택 등

월급 400만 원 → 행복주택, 장기전세, 든든전세 등

월급 450만 원 → 장기전세, 자격완화, 민간임대 일반공급 등

반응형

프리랜서, 사업자, 직장인 모두 다른 방식!

직장인: 건강보험 보수월액

프리랜서/사업자: 소득금액증명원 (홈택스에서 확인)

간편 계산법: 건강보험료 ÷ 0.03545 = 월 소득 추정

※ 단, 장기요양보험료와 회사 부담금은 제외하고 계산해야 해요.

LH, SH는 여러분 소득을 조사하지 않습니다

소득 조사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이뤄지며, 아래 순서대로 반영됩니다:

1. 건강보험공단 자료

2. 근로복지공단

3. 국민연금공단

4. 장애인고용공단

5. 국세청 자료

소명 절차, 이렇게 활용하세요

공고일 이후 퇴사했더라도, 공고일 이전에 퇴사했다면 건강보험 자격 득실 확인서 제출로 소명이 가능합니다.

소득이 잘못 조사되었다면? 꼭 소명하세요. 잘못된 소득으로 탈락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소득 기준 계산에 활용되는 소득 종류

근로소득: 월급, 공공일자리, 자활근로

사업소득: 프리랜서, 자영업 등

기타소득: 실업급여, 연금, 보조금 등

재산소득: 일정 기준 이상의 이자, 배당, 임대소득

※ 단순한 이자 소득은 소득으로 보지 않습니다 (예금 이자 등은 대부분 제외).

마지막 꿀팁! 시기 잘 맞추면 기회는 더 많다

예: 2024년 소득은 2025년 7월 1일부터 발급 가능하므로 2023년 소득이 낮았다면 상반기 집중 접수가 기회!

결론: 접수는 공짜, 당첨은 기회!

신고된 모든 소득은 조사된다.

신고되지 않은 소득은 조사되지 않는다.

건강보험 공단 신고 소득이 가장 중요하다.

소득 기준 없는 공고도 많다.

소득 때문에 포기하지 마세요. 접수는 공짜!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0) 2025.04.17
소상공인정책자금 신청  (0) 2025.04.16
어버이날 카네이션 선물  (0) 2025.04.15
스미싱 차단  (1) 2025.04.15
AI 앱 추천  (2) 2025.04.14